금융생활백서

금 투자 방법에 따른 수수료와 세금 부과 기준

by 화수미제
반응형

 

최근 금값이 고공행진을 하며 금 품귀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.

 

이에 따라 은 시세도 함께 오르고 있으며, 한 돈 짜리 돌반지 가격이 60만 원까지 상승하며 최근 10년 내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.

 

 

2025년 2월 17일 기준 금 시세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순금(24K) 3.75g : 구매 가격 586,000원, 판매 가격 560,000원
  • 18K 금 3.75g : 판매 가격 411,600원
  • 14K 금 3.75g : 판매 가격 319,200원

금이 바닥나자 은값까지 오르며 거래소 실버바 재고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뉴스도 나오고 있습니다.

 

금값 상승의 원인으로 여러 요인이 있지만, 단기간 급등과 전 국민적인 관심으로 인해 과열 국면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

 

금을 투자 목적으로 매수하려는 경우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.


국내 금 투자 방법 4가지

금 선물과 같은 전문적인 투자 상품을 제외하면 국내에서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4가지가 있습니다.

  1. 금은방에서 실물 금 구매
  2. KRX 금 시장에서 거래
  3. 증권사를 통한 금 ETF 투자
  4. 은행 금 통장(골드뱅킹) 가입

각 방법별로 수수료와 세금 기준이 다르므로, 투자 목적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1. 금 투자 방법별 비교

① 실물 금 투자 (골드바, 금화 등)

  • 구매처 : 한국금거래소, 은행, 금은방 등
  • 구매 가격 : 시세에 따라 변동 (예: 3.75g 골드바 586,000원)
  • 부가가치세(VAT) : 구매 시 10% 부과
  • 기타 비용 : 보관 비용 (금고 구입 또는 은행 보관료 등)

총비용 예시:

  • 구매 가격 : 586,000원
  • 부가가치세 : 58,600원
  • 총비용 : 644,600원

② KRX 금 시장 거래

  • 구매처: 증권사 계좌를 통해 거래
  • 구매 가격: 시세에 따라 변동 (예: 1g당 156,267원)
  • 거래 수수료: 증권사별로 상이 (약 0.2~0.3%)
  • 부가가치세: 없음 (단, 실물 인출 시 10% 부과)

총비용 예시:

  • 구매 가격 : 3.75g 구매 시 586,000원
  • 거래 수수료 : 약 1,172원 (0.2% 가정)
  • 총비용 : 587,172원

③ 금 ETF (상장지수펀드)

  • 구매처 : 증권사 계좌를 통해 주식처럼 거래
  • 구매 가격 : ETF 가격에 따라 변동
  • 거래 수수료 : 증권사별로 상이 (약 0.015~0.1%)
  • 운용 보수 : 연 0.3~0.6%
  • 세금 : 매도 시 배당소득세 15.4% 부과

총비용 예시:

  • 거래 수수료 : 100만 원 투자 가정 시 약 1,000원 (0.1% 가정)
  • 운용 보수 : 연 3,000~6,000원
  • 매도 시 세금 : 수익의 15.4%

④ 금 통장 (골드뱅킹)

  • 구매처 : 시중 은행
  • 구매 가격 : 시세에 따라 변동
  • 거래 수수료 : 매수·매도 시 각각 약 1%
  • 세금 : 매도 시 배당소득세 15.4% 부과

총비용 예시:

  • 거래 수수료 : 100만 원어치 금 거래 시 매수 10,000원, 매도 10,000원
  • 매도 시 세금 : 수익의 15.4%

2. 투자 방법별 장단점 비교

📌 금은방에서 실물 금 구매

  • 장점 : 접근성이 좋음
  • 단점 : 부가가치세 10% 추가 부담, 보관 비용 발생

📌 은행 금 통장 (골드뱅킹)

  • 장점 : 소액 투자 가능 (0.01g 단위 매입 가능)
  • 단점 : 이자 없음, 수수료와 15.4% 배당소득세 부과

📌 증권사 금 ETF 투자

  • 장점 : 주식처럼 매매 가능, 수수료 저렴
  • 단점 : 매매차익에 대해 15.4% 배당소득세 부과

📌 KRX 금 시장 투자

  • 장점 : 부가가치세 없음, 저렴한 수수료
  • 단점 : 증권사 계좌 개설 필요, 실물 인출 시 10% 부가세 부과

3. 결론: 어떤 투자 방법이 유리할까?

비용과 환금성을 고려할 때 KRX 금 시장에서 거래하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.

  • 비용 측면 : KRX 금 시장 → 증권사 ETF → 은행 금 통장 → 금은방 순
  • 환금성 측면 : 증권사=KRX 금 시장 → 은행 → 금은방 순
  • 접근성 측면 : 금은방 → 은행 → 증권사 → KRX 금 시장 순

📌 단기 투자 : KRX 금 시장, 금 ETF 추천

 

📌 장기 소액 투자 : 은행 금 통장

 

📌 실물 자산 보유 : 골드바 구매 (단, 부가세 고려)

 

금 투자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. 본인의 투자 목적과 비용, 세금을 꼼꼼히 비교한 후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.

블로그의 프로필 사진

블로그의 정보

금융생활백서

화수미제

활동하기